반응형

정보 시리즈 764

코인지갑 노린다?<Aiming for a coin wallet?>

지갑 노린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가상 화폐 지갑의 비밀번호를 노리는 악성 코드가 유행하고 있다. 복잡한 가상 화폐 지갑 보안 문구를 사진으로 캡처해 저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해 이를 빼내는 방식이다. 글로벌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는 애플과 구글의 앱 장터에서 활동 중인 악성 코드 ‘스파크캣’을 발견했다고 2025년 2월 10일 밝혔다. 스파크캣은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목마처럼 앱에 숨어 사용자들이 다운로드하기를 기다린 뒤 스마트폰에 앱이 설치되면 특정 정보를 빼낸다. 특히 가상 화폐 지갑 정보를 집중적으로 노린다. 가상 화폐 지갑을 만들 때 12~24개 단어로 구성된 보안 문구를 받는데 이를 사진으로 캡처해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이가 많다. 스파크캣은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을 ..

코인&정보 01:14:12

멜라니아 밈코인 90% 추락<Melania MemeCoin Down 90%>

멜라니아 밈코인 90% 추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부인 멜라니아 여사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밈코인이 종전 가치에서 크게 하락했다. 코인마켓캡과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2025년 2월 7일 멜라니아 밈코인은 1.48달러로 최고가였던 13.73달러에서 90% 하락했다. 한때 멜라니아 코인의 시가총액은 21억달러에 달했지만 현재는 7억 1630만달러에 머무는 상태다 트럼프 밈코인 역시 사상 최고가 였던 75.08달러에서 17.18달러로 약 77% 가치가 하락했다. 스테판 우엘레트 FRNT 파이낸셜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O)는 “밈코인은 변동성이 매우 크며 본질적인 가치가 거의 없다”며 “트럼프 밈코인과 멜라니아 밈코인의 가격 움직임은 이런 특성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자산들은 순..

코인&정보 2025.02.08

비트코인 미국 최초 국부펀드 자산에 편입?<Bitcoin Incorporated into U.S. First Sovereign Fund Asset?>

비트코인 미국 최초 국부펀드 자산에 편입?>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2025년 2월 3일 미국 최초의 국부펀드 설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정부가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기회로 보는 암호화폐 강세론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국부펀드는 정부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투자 수단으로, 부동산,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한다. 목적은 수익을 창출해 정부 지출에 활용하는 것이다. 트럼프는 디지털 자산을 펀드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명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 상원의원이 소셜 미디어 X에 비트코인 '₿' 기호를 사용해 이 발표를 "₿대단한 일"이라고 언급하면서 암호화폐 업계의 기대감이 고조됐다. 정부가 이런 펀드로 디지털 자산에 투자하는 것..

코인&정보 2025.02.07

이더리움 급락 후 대규모 저가 매수 발생<Large-scale low-price buying after Ethereum plunge>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속에 이더리움이 급락한 가운데 대규모 저가 매수가 발생했다. 2025년 1월 4일 코인데스크는 인투더블록 데이터를 인용해 전일 중앙화 거래소에서 거의 10억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이 유출된 것으로 보도했다. 이는 2024년 1월 이후 최대 규모다. 인투더블록은 텔레그램을 통해 이 변동이 트레이더들이 가격 하락을 매수 기회로 보고 이더리움을 축적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이더리움 가격은 전일 시장 유동성 악화와 트레이더들의 선물 포지션 청산 속에 일부 거래소에서 2000달러까지 급락했다가 이후 반등했다. 그러나 시장 심리는 여전히 약세다. 울트라사운드머니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의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디플레이션 효과가 점차 완화되고 있다. 같은 날 이더리움 상장지수펀드(ETF) ..

코인&정보 2025.02.05

트럼프 밈코인 폭락?<Trump MemeCoin Crashes?>

트럼프 밈코인 폭락?> 트럼프 밈코인(TRUMP)이 급격한 매도세로 인해 최고점 대비 70%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관련 게시글을 올린 후 코인 가격은 20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트럼프 밈코인에 대한 투자자 신뢰가 약화되면서 시장에서는 활발한 매도세가 나타났다 일부 시장 분석가는 이번 급락이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암호화폐 전략가 캡틴 페이빅(Captain Faibik)은 트럼프 밈코인이 ‘하락 쐐기(Falling Wedge)’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며 반등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 다른 애널리스트 에드워드 모라(Edward Morra)는 TRUMP 토큰이 20달러에서 지지선을 형성했다고 분석하며 21.5달러에..

코인&정보 2025.02.05

가상화폐 아무 쓸모없다?<Virtual currency is useless?>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가상화폐를 두고 “아무 쓸모없다”고 평가했다. 게이츠는 첫 자서전 출간을 앞두고 뉴욕타임스(NYT)와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해다. 그는 “가상화폐가 어떤 쓸모가 있을까”라는 질문에 “높은 아이큐를 가진 사람들이 그 문제에 대해 스스로를 속이고 있다”고 말했다. 게이츠는 과거에도 가상화폐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2022년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열린 기후변화 콘퍼런스에서 “NFT 등 가상화폐 프로젝트는 ‘더 멍청한 바보 이론(the greater-fool theory)’에 기반한 허튼소리”라고 말했다. ‘더 멍청한 바보 이론’은 상품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형성돼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자기보다 높은 가격에 매입할 투자자, 즉 ‘더 멍청한 바보’가 있다는 기대에..

코인&정보 2025.02.04

비트코인 이더리움 혼합 ETF 승인?<Bitcoin Ethereum Mixed ETF Approved?>

비트코인 이더리움 혼합 ETF 승인?> 미국에서 가상자산을 담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출시가 탄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알트코인 기반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025년 1월 3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미국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가 신청한 비트코인·이더리움 혼합형 ETF를 신속 승인했다. 이 ETF는 시가총액 가중방식에 따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을 담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 11월 신청 후 약 2개월 만에 승인됐다. 최근 SEC는 여러 자산운용사에서 신청한 ETF들의 승인에 나서고 있다. 2024년 12월 SEC는 해시덱스와 프랭클린템플턴에서 신청한 비트코인&이더리움 혼합형 ETF도 승인한 바 있다. 해시덱스의 ETF는 나스닥에 상장되고 프랭클린템플턴의 ET..

코인&정보 2025.01.31

역대급 증시 폭락 대비하라?<Preparation for the biggest stock market crash ever?>

역대급 증시 폭락 대비하라?> 2025년 1월 29일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기요사키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서 "2013년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를 통해 경고했던 역사상 최악의 증시 폭락 사태가 오는 2월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주식과 채권 시장이 무너지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피난처를 찾고자 비트코인으로 몰려들 것"이라고 내다봤다.기요사키는 이달 초에도 "2013년 역사상 가장 큰 주식 폭락이 다가올 것이라 경고한 바 있다"며 "그 폭락이 바로 지금"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미국 경제 상황을 2008년 금융 위기와 비교하며 "올해 자동차 시장, 주택 시장, 레스토랑, 소매업체, 와인 판매까지 추락하고 있다. 모든 것이 악화하고 있고 세계는 전쟁 직전에 있다"고 지적했..

주식&정보 2025.01.30

딥시크 쇼크 영향 엔비디아 시총 붕괴?<Disruption of Nvidia's Market Cap due to Deep Sykes Shock?>

딥시크 쇼크 영향 엔비디아 시총 붕괴?>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 ‘쇼크’로 엔비디아 주가가 15% 가량 급락하며 시가총액도 3조달러를 하회하고 있다. 이러한 하락세는 딥시크의 모델 개발이 AI분야의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나타나고 있다. 딥시크는 지난해 말 무료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출시했다. 딥시크는 미국 AI업체들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인 600만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단 두 달 만에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 경과를 설명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챗GPT와 비슷한 성능의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그친다. 엔비디아의 ‘H800 GP..

주식&정보 2025.01.28

1월 강세 한국증시?<Strong Korean Stock Exchange in January?>

1월 강세 한국증시?> 연초 이후 코스피, 코스닥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ETF(상장지수펀드) 시장에서 국내 주식형 ETF에 자금이 몰렸다. 전체 ETF 순자산규모가 180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국내주식형 ETF는 전년말 대비 7.5% 늘었다. 해외주식형 성장세(7.1%)를 다소 앞선다. 실적 부진, 정치적 이슈, 트럼프 2기 정책 영향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실적모멘텀이 바닥을 통과하는데다 상대적 가격 메리트가 있어 반등을 이어갈 것이란 희망적인 전망이 나온다. 국내 주식형 ETF 순자산은 23일 38조1326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7.5% 늘어났다. 전체 ETF 순자산 증가율인 5.5%를 웃돈다. 해외주식형 ETF도 자금유입과 주가 상승도 이어지며 전년 말 대비 7.1% 순자산이 늘었다. 해외주식형 E..

주식&정보 2025.01.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