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itcoin 107

스트래티지 전량 매각 가능성 언급?<Referring to the possibility of selling all of the strategy?>

스트래티지 전량 매각 가능성 언급?> 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을 일부 또는 전량 매각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25년 4월 8일 유투데이는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규제 요구나 금융 의무를 충족해야 하는 상황 발생 시 매각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스트래티지는 서류에서 “비트코인 보유 자산의 시장 가치가 크게 하락하면 자사의 금융 의무를 이행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회사의 대차대조표에서 비트코인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자본 조달이 지연되거나 불리한 조건으로 이루어질 경우 비트코인 매각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류는 “금융 의무를 충족하기 위해 비트코인을 팔아야 할 수 있다. 매..

코인&정보 2025.04.10

비트코인 새로운 국면 진입?<Bitcoin entering a new phase?>

비트코인 새로운 국면 진입?> 비트코인이 기존 4년 주기 사이클 패턴을 깨고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이클은 구조, 타이밍, 시장 행태에서 과거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자산 시장 분석가 배트맨(BATMAN)은 “이번 사이클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비트코인 반감기 이전에 랠리가 시작됐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2024년 4월 반감기 이전에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것은, 1월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이후 블랙록과 피델리티 등 기관 투자자들로부터 대규모 자금이 유입된 결과다. 배트맨은 시장의 성숙도와 내러티브 변화에 주목했다. 그는 “현재 시장은 기관급 자산 보관, 깊어진 유동성, 정교해진 파생상품, 규제 채널을 통한 대규모 자금 유입 등으로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갖추고 ..

코인&정보 2025.04.04

현재 가상화폐 폭락 원인은?<What's the cause of the current virtual currency crash?>

현재 가상화폐 폭락 원인은?> 가상화폐들이 일제히 폭락했다. 암호화폐 서밋에 대한 실망이 지속되고 미국 관세 전쟁 확전 우려 등의 영향으로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는 것이다. 가상화폐 시총 4위 리플은 암호화폐 서밋에 대한 실망이 지속되면서 한때 10% 이상 폭락했다. 비트코인보다 알트코인의 낙폭이 더 큰 것은 암호화폐 서밋으로 알트코인이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가 무너졌기 때문이다. 주요 암호화폐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는 것은 2025년 3월 7일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첫 암호화폐 서밋에서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구매하지는 않을 것이란 사실이 다시 확인됐기 때문이다. 앞서 2025년 3월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암호화폐 준비금 행정명령에서도 국가 자금으로 암호화폐를 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힌 ..

코인&정보 2025.03.11

코인시장 본격 하락장 진입?<Going into a downward market in earnest in the coin market?>

코인시장 본격 하락장 진입?> 비트코인 가격이 1억 4100만 원대까지 떨어지며 약세 흐름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원화 마켓에서 비트코인이 1억 4100만 원대를 터치한 것은 한 달여 만이다. 이더리움을 비롯한 알트코인 역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단기적 요인과 별개로 당분간 조정장이 펼쳐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최근 하락세가 2025년 2월 19일 공개 예정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주요 연준 인사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입장을 밝히며 추가 금리 인하 시점이 미뤄질 수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최근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밈 코인' 리브라(LIBRA)를 홍보했다가..

코인&정보 2025.02.20

법인도 코인 투자 가능?<Can corporations also invest in coins?>

2025년 하반기부터는 삼성전자, 현대차처럼 자본시장법상 전문 투자자로 분류된 상장사와 전문 투자자로 등록한 법인의 코인 투자도 허용한다. 금융 투자 상품 잔액인 100억원 이상인 기업이 이에 해당한다. 다만 4대 금융 지주 등 금융회사, 자산운용사, 사모펀드, 기금 같은 각종 금융 관련 법인은 제외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코인 투자가 가능한 법인은 3500여 개(상장사 2500여 개)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한국판 스트래티지’가 등장할 수 있게 됐다. ‘스트래티지’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기업이지만 세계에서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미 나스닥 상장 기업이다. 정부는 금융회사 등의 가상 자산 투자 허용 여부는 장기 과제로 남겼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회사는 가상 자산 투자에 따른 위험이 금융 시스템 ..

코인&정보 2025.02.14

13년간 손대지 않은 430개 비트코인 발견<Found 430 Bitcoins Not Touching For 13 Years>

13년간 손대지 않은 430개 비트코인 발견> 코인베이스의 코너 그로건이 실크로드 창립자 로스 울브리히트와 연관된 430 비트코인을 밝혀냈다고 디파이언트가 전했다. 이 비트코인들은 13년 넘게 손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현재 시세로 약 4700만 달러 상당이다. 이번 발견은 디지털 자산이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해당 자산은 처음 획득된 이후로 한 번도 접근된 적이 없다. 울브리히트와 연결된 여러 지갑에서 이 비트코인들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암호화폐 거래 추적의 복잡성을 강조한다.  Coinbase's Conor Grogan has identified 430 Bitcoin linked to Silk Road founder Ross Ulbricht, Defiant said...

코인&정보 2025.01.23

트럼프 랠리 비트코인?<Trump Rally Bitcoin?>

트럼프 랠리 비트코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전 기대감이 폭발하며 최고가 경신 랠리를 펼치던 비트코인이 취임 직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관련 행정명령이 나오기 전까지 단기적으로 9만달러~10만달러 선에서 횡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트럼프가 친암호화폐 성향으로 알려진 만큼 취임 이후 가상자산 시장에 활기가 돌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며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이 상승세를 보였지만, 취임식 이후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암호화폐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40분간 이어진 연설에서 불법이민, 외교 및 안보 등 다양한 이슈를 언급했지만 가상자산 관련 언급은 없었다. 코인데스크는 "트럼프가 취임 연설에서 암호화폐에 대..

코인&정보 2025.01.21

코인 상승세 멈칫?<Coin is on the rise?>

코인 상승세 멈칫?> 미국의 국채 금리가 급등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최근 미국 채권 금리는 전달 대비 1%포인트 상승해 5%에 육박하고 있다. 이러한 채권 금리 상승은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켜 가상자산 등 위험자산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친(親) 가상자산을 내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재정 정책이 오히려 가상자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공약인 정부지출 증대, 세금 인하 등 확장적 재정정책이 국채 금리 급등, 인플레이션 심화, 재정적자 확대 등 시장 불안을 부추겼다고 보고 있다. 코인데스크는 애널리스트들의 발언을 인용해 "연방준비제도의 매파적 스탠스, 장기 국채 수익률 급등, 인플레이션 고착화, 미국 정부 셧다운 가능성 등으로 위험 자..

코인&정보 2025.01.13

트럼프 효과 시작?<The Trump Effect Starts?>

트럼프 효과 시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수혜주로 꼽히는 테슬라 주가가 실적 부진에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도 10만달러대를 다시 돌파했다. 2주 앞으로 다가온 트럼프 대통령 취임이 테슬라와 비트코인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기술주가 상승세를 띈 영향도 있지만 트럼프 2기 출범이 지속적인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테슬라는 새해 첫 거래일이었던 2024년 1월 2일 6.1% 하락해 379.28달러로 고꾸라졌으나, 하루 만에 하락분을 모두 되돌린 바 있다. 당시 주가가 급락한 건 테슬라의 지난해 연간 전기차 인도량(178만9226대)이 전년(180만8581대)보다 감소했다는 발표가 영향을 줬다. 테슬라의 연간 인도량이 감소한 것은 역대 처음이었다..

코인&정보 2025.01.08

비트코인 골드 상장폐지<Bitcoin Gold delisting>

비트코인 골드 상장폐지> 가상화폐 비트코인 골드 상장폐지로 투자자들이 혼선을 빚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비트코인 골드를 상장폐지한 것과 대조적으로 또다른 가승화폐 거래소인 코인원이 비트코인 골드 유치 이벤트을 벌이면서 혼란이 생겨났다. 비트코인골드는 업비트에 지난 2017년 상장돼 최근까지 거래된 코인이다. 비트코인골드는 비트코인을 일종의 코드 복사인 ‘하드포크’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름에 비트코인이 들어가 있지만 비트코인과 관련성이 없다. 이름이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비트코인 가격이 오르면 비트코인 골드도 오를 것으로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있지만 실질적 연관성은 없다. 비트코인 골드 시가총액은 2000억원 내외이다. 전체 가상자산 중 시가총액 규모가 300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업비트는 ..

코인&정보 2025.01.0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