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딥시크 쇼크 영향 엔비디아 시총 붕괴?<Disruption of Nvidia's Market Cap due to Deep Sykes Shock?>

숏힐링(Short Healing) 2025. 1. 28. 17:20
반응형

<딥시크 쇼크 영향 엔비디아 시총 붕괴?>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 ‘쇼크’로 엔비디아 주가가 15% 가량 급락하며 시가총액도 3조달러를 하회하고 있다. 이러한 하락세는 딥시크의 모델 개발이 AI분야의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나타나고 있다. 딥시크는 지난해 말 무료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출시했다. 딥시크는 미국 AI업체들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인 600만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단 두 달 만에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 경과를 설명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챗GPT와 비슷한 성능의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그친다. 엔비디아의 ‘H800 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으로 계산됐다. H800은 미국의 고성능 칩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가 H100 사양을 낮춰 출시한 칩이다. 외신들은 딥시크가 딥시크가 LLM 훈련에 사용한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가 미국 AI업체보다 훨씬 적어 효율적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딥시크가 오픈AI와 구글 등 실리콘밸리의 거대 기업보다 첨단 칩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챗봇을 만들어 미국의 AI칩 수출규제의 한계를 보여줬다고 보도했다. NYT는 AI 선두 기업들이 1만6000개 이상의 칩을 사용해 챗봇을 훈련한 것과 달리 딥시크는 엔비디아 GPU 약 2000개만 필요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발전은 대형 기술 기업들이 AI 모델과 데이터 센터에 과잉 투자를 하고 있다는 의문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Disruption of Nvidia's Market Cap due to Deep Sykes Shock?>

 

With the recent AI model "Shock" released by Chinese artificial intelligence start-up DeepSeek, Nvidia's stock price has plunged by 15% and its market capitalization is falling below $3 trillion. The decline comes as DeepSeek's model development raises questions about the high value of AI. DeepSeek launched a free open-source large-scale language model (LLM) late last year. DeepSeek claims to have developed it in just two months at a cost of less than $6 million, far less than what U.S. AI companies are asking for. According to a technology report that explained the development progress of DeepSeek, it was only $5.576 million (about 7.88 billion won) to develop the "DeepSeek-V3" with similar performance to ChatGPT. It was calculated as the cost of borrowing Nvidia's "H800 GPU" for two months for $2 an hour. H800 is a chip released by Nvidia by lowering its H100 specifications due to U.S. high-performance chip export regulations. Foreign media analyze that DeepSeek uses much less graphics processing units (GPU) for LLM training than U.S. AI companies. The New York Times reported that DeepSeek showed the limits of U.S. regulations on AI chip exports by creating a competitive chatbot using less advanced chips than Silicon Valley giants such as OpenAI and Google. The New York Times reported that unlike AI leaders who trained chatbots using more than 16,000 chips, DeepSeek only needed about 2,000 Nvidia GPUs. Such advancements are raising questions that tech giants are overinvesting in AI models and data centers.

 

*한줄평: AI매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AI평: 현재로서는 딥시크 쇼크가 엔비디아의 시가 총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 엔비디아는 미국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 설계 회사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자동차와 로봇 등 새로운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딥시크 쇼크는 2023년 12월 31일, 미국의 대형 헤지펀드인 시타델이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 중 하나인 S&P 500 지수의 실시간 데이터를 무단으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발생한 사건입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시타델은 약 1조원의 벌금을 부과받았으며 뉴욕 증시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이 엔비디아의 시가 총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엔비디아의 주가와 시가 총액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딥시크 쇼크 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엔비디아의 시가 총액이 붕괴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재무 상태와 시장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부탁 드려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