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

아파트 평수계산 방법

숏힐링(Short Healing) 2024. 2. 6. 23:39
반응형

<아파트 평수계산 방법>

 

일반적으로 집을 구매하거나 임대할 때 평이라는 단위를 흔히 접하게 됩니다. 부동산 광고에서도 면적을 평수로 표기해서 건물의 크기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이는 국내의 오랜 관습으로 예전부터 넓이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로 인식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법적으로는 ㎡라는 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데요. 알아두면 유용한 아파트 평수계산 방법을 알고 계시나요? 사실 평수는 일제강점기 시절 도입된 일본식 척관법에서 유래한 단위입니다. 이러한 부조리를 해소하고자 정부는 2007년에 부동산 면적 표기를 ㎡로 바꾸는 법률을 개정했습니다. 그래서 최근 나오는 분양 혹은 모집공고를 보면 면적 자체는 대부분 제곱미터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아직 예전 단위에 익숙해 있어서 곤경을 겪곤 합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곱미터와 평을 환산해야 할까요. 1평은 약 3.3057㎡에 해당하므로 기존 단위에 3.3057을 곱하면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용면적이 25평인 집이라면 대략 82.6425㎡로 아파트 평수계산이 되는 것입니다. 반대의 경우라면 기존 단위를 3.3057로 나누면 되는데요.

 

숫자가 너무 길고 복잡해서 어렵다면 3으로 어림짐작해 보는 것도 팁입니다. 그런데 임장에 나서 보면 단위를 안다고 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들이 참 많습니다. 관련해서 몇 가지 상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먼저 전용면적인데 이는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집 내부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함께 사용되는 공급면적이란 여기에 주거 공용부의 규모를 합친 것인데요. 예를 들어 전용 59㎡, 공용 24㎡라면 공급부는 약 83㎡가 되는 식입니다. 실제로 계약할 때는 두 수치를 합해서 서류상에 기재하게 되는데요. 평당 분양가도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되므로 입주자 모집공고를 볼 때는 공급부의 크기가 얼마인지 확인해서 정확하게 아파트 평수계산을 해보면 좋습니다. 만일 이런 절차가 번거롭고 까다롭다면 요즘에는 조금 더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휴대전화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포털 사이트를 활용하는 것인데요. 요즘은 다들 스마트폰을 써서 웹 페이지에 검색어만 입력하면 간단하게 원하는 지식을 얻기 쉽습니다. 평수계산기라고 입력하면 ㎡를 평으로 환산해 주는 것은 물론 헥타르나 에이커처럼 한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해외 부동산 규격도 손쉽게 파악이 가능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클릭 부탁 드려요~

 

728x90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중개수수료 수수료율  (43) 2024.02.08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면제조건  (49) 2024.02.08
전입세대 열람내역서 발급 방법  (51) 2024.02.05
전대차 계약 개념  (49) 2024.02.04
내용증명 작성방법  (53) 2024.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