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정보 189

서학개미가 찜한 ETF 상위 5개

서학개미가 올해 들어 순매수한 미국 배당형 상장지수펀드(ETF)가 2조원어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시에서 10조원어치 순매도하는 동안 미국 증시에 몰려가 배당형 ETF를 대거 쇼핑한 것이다. 2024년 7월 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요 배당형 ETF 순매수 규모는 이날 현재 13억4000만달러(약 1조8600억원)로 집계됐다. 역대 가장 많았던 지난해 연간 순매수 규모(1조2000억원)를 이미 훌쩍 뛰어넘었다. 올해 들어 국내 투자자가 사들인 미국 ETF를 살펴봐도 1~5위(레버리지 제외)가 모두 배당형이다. 서학개미 사이에서 ‘필수 투자 종목’으로 꼽히는 ‘슈와브 US 디비던드 에퀴티’(SCHD)를 약 4690억원어치 사들였고 ‘뱅가드 S&P500’(VOO), ..

주식&정보 2024.07.23

슬금슬금 삼천피

2024년 7월 11일 코스피가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국내 증시에도 훈풍이 불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0.81% 상승한 2891.25에 마감했다. 코스피는 이날까지 3거래일을 연달아 상승 마감하면서 연일 연고점을 갈아치우고 있다. 이날 삼성전자는 0.23% 소폭 하락했지만 코스피 시총 10위권의 대형주 대부분이 상승 마감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장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한 SK하이닉스는 전날보다 0.84% 오르면서 ‘24만닉스’를 달성했다. 칠레 리튬 광산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 대상이 됐다는 소식에 포스코홀딩스(6.24%)와 LG에너지솔루션(3.59%) 등 2차전지 관련주의 반등도 두드러졌다. 이날도 외국인 투자자의 ‘바이코리아’가 지속되면서 코스..

주식&정보 2024.07.12

금리인하 신호에 개미들이 돈 싸들고 간 곳

미국이 하반기 금리인하에 돌입할 것이란 전망이 커지면서 이달들어 개인투자자들이 국내 상장된 미국 장기채 상장지수펀드(ETF)를 1000억원 이상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인하에 따른 채권 가격 상승을 기대하며 변동성이 큰 장기채에 몰렸기 때문이다. 2024년 7월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들어 국내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상장된 17종의 미국 장기채 ETF를 총 1189억8147만원어치 사들였다.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가 371억원으로 가장 컸고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과 ‘KODEX 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합성 H)’도 각각 264억원, 186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최근 미국 실업률 증가 및 소비자 지수 둔화 등 경기 침체 징후가 나타나면서 올해 하반기 미국의..

주식&정보 2024.07.11

여기저기 신고가!

코스피 지수가 2년 반 만에 최고점을 갈아치웠다. 깜짝 실적을 기록한 삼성전자 등 대형주들이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정부의 세제 인센티브 발표로 밸류업 정책이 힘을 받은 것도 상승세에 기여했다.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며 '코스피 3000' 돌파가 가능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2024년 7월 5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37.29포인트(1.32%) 오른 2862.23에 마무리했다. 장 중 2871.96까지 치솟아 전날 기록한 연고점을 다시 돌파했다. 장 중 2871.79를 기록한 2022년 1월 19일 이후 2년 5개월 만에 최고점이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원 넘는 순매수세를 보였다. 국내 증시 대장주 삼성전자가 지수를 견인했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최근 한 ..

주식&정보 2024.07.08

테슬라 주가 상승!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가 사흘째 강세를 이어가며 올해 초 수준으로 회복하는 양상이다. 2024년 7월 3일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장보다 5.65% 오른 244.3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말 248.48달러, 올해 초 248.42달러였던 테슬라 주가는 지난 4월 22일 138.80달러까지 떨어진 바 있다. 당시 연중 낙폭이 44%에 달했으나 이후 4월 29일 194.05달러로 오른 뒤 박스권에서 횡보하다 지난달 하순부터 완연한 강세 흐름으로 돌아섰다. 이날 장중 주가 기준으로 올해 연중 낙폭은 2%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는 전날 테슬라가 발표한 2분기(4∼6월) 인도(판매) 실적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테슬라의 지난 2분기 인도량은 44만3천956대로 지난해 동기(46만6천140..

주식&정보 2024.07.04

ETF도 단타! 지수 베팅러 증가!

ETF도 단타! 지수 베팅러 증가! > 국내 증시만 유독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자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단타가 만연해지고 있다. 단타 성격이 짙어진 지수 추종형 ETF에 투자함으로써 지수의 상승&하락 방향성에 단순 베팅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024년 6월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1월 2일~6월 28일) 국내 ETF 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상품은 ‘KODEX 200선물인버스2X’다. 기초자산인 코스피200선물지수를 역으로 2배 추종하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의 올해 일평균 거래량은 1억5030만좌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평균 거래량 상위 10종목에 이름을 올린 상품을 살펴보면 무려 7종목이 지수 추종형 ETF로 나타났다. 1위인 ‘KODEX 200선물인버스2X’를 ..

주식&정보 2024.07.01

주가 500% 폭등 종목!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통틀어 올해 상반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종목은 실리콘투였다.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화장품 유통 업체 실리콘투는 지난해 말 7710원에서 지난 2024년 6월 28일 4만 7000원으로 510% 올랐다. 한국 화장품 인기가 북미·동남아 시장 등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실리콘투는 자사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160여개 국가에 한국 화장품을 역직구 판매하고 있다. 같은 기간 토니모리(179%), 한국화장품제조(147%), 코스메카코리아(132%), 선진뷰티사이언스(124%), 브이티(95%), 스킨앤스킨(90%), 코스맥스(53%), 청담글로벌(51%) 등 다른 화장품 관련 종목들도 크게 올랐다. AI 벨류체인과 연계된 종목들도 파죽지세로 상승했다. 특히 AI ..

주식&정보 2024.06.30

600조 증발한 엔비디아

600조 증발한 엔비디아>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가 조정 국면에 진입하면서 AI 관련주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2024년 6월 18일 정점을 찍은 후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뉴욕증시가 2000년대 초반 시스코 주가 급락 사태를 연상케 하는 ‘제2의 닷컴버블’ 붕괴 초입에 들어선 것 아니냐는 불안감도 감지된다. 월가에서는 엔비디아 주가가 단기적으로 1주당 100달러까지 밀릴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중장기 관점에서는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면서 목표가 높이기에 나섰다. 2024년 6월 24일 엔비디아 주가가 하루 만에 6.68% 떨어진 결과 118.11 달러에 거래를 마치면서 기술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기술적 조정이란 연고점 대비 주가가 10% 이상 떨어진 경우를 ..

주식&정보 2024.06.26

월가 최고 애널리스트들이 장투 추천한 주식은?

월가 최고 애널리스트들이 장투 추천한 주식은?> 투자 전문 플랫폼 팁랭크스에 따르면 월가의 최고 애널리스트들이 장기 투자를 추천하는 종목은 델타항공, 마이크로소프트(MS), 지스케일러(Zscaler)로 집계됐다고 CNBC가 2024년 6월 23일 전했다.델타항공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항공사로 매일 4000편의 항공편을 통해 6대륙, 290개 이상 국가에 취항한다. 미국 투자은행 TD코웬은 델타항공을 ‘2024 베스트 아이디어’로 꼽았다. 소프트웨어 대기업 MS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인공지능(AI) 물결의 핵심 수혜자다. 티그레스파이낸셜은 최근 MS에 대해 매수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475달러(약 66만1000원)에서 550달러(약 76만4000원)로 상..

주식&정보 2024.06.25

개미투자자들 2400억 싸들고 이 나라 갔다

일본 증시 약세가 이어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주 외국인 투자자들은 약 16억달러(2조2250억원)의 일본 주식을 순매도했다. 일본 주식시장에서의 외국인 자본 유출은 4주째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24년 3월 4만800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기록했던 닛케이지수는 지난 2024년 6월 21일 기준 3만8500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했다. 같은 기간 중국펀드에서도 1230억원이 빠져나갔다. 중국증시는 2024년 5월 20일만해도 상해종합지수가 3171.15를 기록하며 지난 2024년 2월 5일 기록했던 저점(2702.19)대비 17.35% 반등하며 주목받았다. 하지만 이후 한달간 5.45% 하락했다. 중국 정부가 대규모 부양책을 발표하며 크게 반등했지만 중국의 부동산 침체 ..

주식&정보 2024.06.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