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1 24

비트코인 이더리움 혼합 ETF 승인?<Bitcoin Ethereum Mixed ETF Approved?>

비트코인 이더리움 혼합 ETF 승인?> 미국에서 가상자산을 담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출시가 탄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알트코인 기반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025년 1월 3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미국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가 신청한 비트코인·이더리움 혼합형 ETF를 신속 승인했다. 이 ETF는 시가총액 가중방식에 따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을 담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 11월 신청 후 약 2개월 만에 승인됐다. 최근 SEC는 여러 자산운용사에서 신청한 ETF들의 승인에 나서고 있다. 2024년 12월 SEC는 해시덱스와 프랭클린템플턴에서 신청한 비트코인&이더리움 혼합형 ETF도 승인한 바 있다. 해시덱스의 ETF는 나스닥에 상장되고 프랭클린템플턴의 ET..

코인&정보 2025.01.31

역대급 증시 폭락 대비하라?<Preparation for the biggest stock market crash ever?>

역대급 증시 폭락 대비하라?> 2025년 1월 29일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기요사키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서 "2013년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를 통해 경고했던 역사상 최악의 증시 폭락 사태가 오는 2월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주식과 채권 시장이 무너지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피난처를 찾고자 비트코인으로 몰려들 것"이라고 내다봤다.기요사키는 이달 초에도 "2013년 역사상 가장 큰 주식 폭락이 다가올 것이라 경고한 바 있다"며 "그 폭락이 바로 지금"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미국 경제 상황을 2008년 금융 위기와 비교하며 "올해 자동차 시장, 주택 시장, 레스토랑, 소매업체, 와인 판매까지 추락하고 있다. 모든 것이 악화하고 있고 세계는 전쟁 직전에 있다"고 지적했..

주식&정보 2025.01.30

딥시크 쇼크 영향 엔비디아 시총 붕괴?<Disruption of Nvidia's Market Cap due to Deep Sykes Shock?>

딥시크 쇼크 영향 엔비디아 시총 붕괴?>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 ‘쇼크’로 엔비디아 주가가 15% 가량 급락하며 시가총액도 3조달러를 하회하고 있다. 이러한 하락세는 딥시크의 모델 개발이 AI분야의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나타나고 있다. 딥시크는 지난해 말 무료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출시했다. 딥시크는 미국 AI업체들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인 600만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단 두 달 만에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 경과를 설명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챗GPT와 비슷한 성능의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그친다. 엔비디아의 ‘H800 GP..

주식&정보 2025.01.28

1월 강세 한국증시?<Strong Korean Stock Exchange in January?>

1월 강세 한국증시?> 연초 이후 코스피, 코스닥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ETF(상장지수펀드) 시장에서 국내 주식형 ETF에 자금이 몰렸다. 전체 ETF 순자산규모가 180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국내주식형 ETF는 전년말 대비 7.5% 늘었다. 해외주식형 성장세(7.1%)를 다소 앞선다. 실적 부진, 정치적 이슈, 트럼프 2기 정책 영향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실적모멘텀이 바닥을 통과하는데다 상대적 가격 메리트가 있어 반등을 이어갈 것이란 희망적인 전망이 나온다. 국내 주식형 ETF 순자산은 23일 38조1326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7.5% 늘어났다. 전체 ETF 순자산 증가율인 5.5%를 웃돈다. 해외주식형 ETF도 자금유입과 주가 상승도 이어지며 전년 말 대비 7.1% 순자산이 늘었다. 해외주식형 E..

주식&정보 2025.01.27

ETF 승인될 가능성 크다는 코인!<Cryptocurrency that is highly likely to be approved for exchange-traded funds>

ETF 승인될 가능성 크다는 코인!> 가상 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과 코인셰어스(CoinShares)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라이트코인 ETF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는 지난해 카나리 캐피털(Canary Capital)에 이어 두 회사가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라이트코인 ETF를 신청한 사례가 됐다. 그레이스케일은 기존의 '그레이스케일 라이트코인 트러스트'를 ETF로 전환하기 위해 19b-4 서류를 SEC에 제출했다. 코인셰어스는 라이트코인 ETF 출시를 위한 S-1 서류를 제출하며 본격적인 승인 절차에 돌입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최근 암호화폐 ETF 승인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마크 우예다(Mark Uyeda..

코인&정보 2025.01.26

워렌버핏 가상자산 투자 확대 중?<Expanding investment in Warren Buffett's virtual assets?>

워렌버핏 가상자산 투자 확대 중> 워렌 버핏이 과거 쥐약이라고까지 경멸했던 가상자산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목이 쏠린다. 미국 포춘지는 2025년 1월 23일 버핏이 이끄는 투자회사 버크셔해서웨이가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견해를 보다 관대하게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버크셔는 현재 브라질 가상자산 플랫폼인 누홀딩스에 8600만 주 이상을 보유했으며 가치는 거의 12억 달러(약 1조7000억 원)에 이른다. 누홀딩스는 2022년에 자체 가상자산 플랫폼인 ‘누뱅크 크립토’를 출시, 비트코인, 이더리움, 폴리곤 등의 거래를 지원했다. 이후 지금은 약간 방향을 틀어 가상자산 송금, 수신, 변환을 위한 가교 역할을 하는 유니스왑과 체인링크에 집중하고..

코인&정보 2025.01.24

13년간 손대지 않은 430개 비트코인 발견<Found 430 Bitcoins Not Touching For 13 Years>

13년간 손대지 않은 430개 비트코인 발견> 코인베이스의 코너 그로건이 실크로드 창립자 로스 울브리히트와 연관된 430 비트코인을 밝혀냈다고 디파이언트가 전했다. 이 비트코인들은 13년 넘게 손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현재 시세로 약 4700만 달러 상당이다. 이번 발견은 디지털 자산이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해당 자산은 처음 획득된 이후로 한 번도 접근된 적이 없다. 울브리히트와 연결된 여러 지갑에서 이 비트코인들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암호화폐 거래 추적의 복잡성을 강조한다.  Coinbase's Conor Grogan has identified 430 Bitcoin linked to Silk Road founder Ross Ulbricht, Defiant said...

코인&정보 2025.01.23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출범<Cryptocurrency Task Force Launched>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출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25년 1월 21일 ‘암호화폐 태스크포스’를 출범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경제 매체 CNBC 등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구성된 ‘암호화폐 태스크포스’는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장벽을 낮출 것으로 업계의 기대를 모을 전망이다. SEC의 마크 우예다 위원장 직무 대행은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명확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암호화폐 태스크포스’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업계에서 오래 기다렸던 SEC의 이러한 움직임에 이날 암호화폐 시가총액 1위인 비트코인은 뉴욕 시장에서 3% 가까이 상승하며 한때 10만7000달러를 돌파했다. 비트코인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둔 2025년 1월 19일 10만9400달러를 돌파하..

코인&정보 2025.01.23

트럼프 랠리 비트코인?<Trump Rally Bitcoin?>

트럼프 랠리 비트코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전 기대감이 폭발하며 최고가 경신 랠리를 펼치던 비트코인이 취임 직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관련 행정명령이 나오기 전까지 단기적으로 9만달러~10만달러 선에서 횡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트럼프가 친암호화폐 성향으로 알려진 만큼 취임 이후 가상자산 시장에 활기가 돌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며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이 상승세를 보였지만, 취임식 이후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암호화폐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40분간 이어진 연설에서 불법이민, 외교 및 안보 등 다양한 이슈를 언급했지만 가상자산 관련 언급은 없었다. 코인데스크는 "트럼프가 취임 연설에서 암호화폐에 대..

코인&정보 2025.01.21

트럼프 코인 급등<Trump Coin Surges>

트럼프 코인 급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이 취임을 앞두고 발행한 자체 밈 코인의 가격이 폭등하면서 한때 시가총액이 140억달러(약 20조4천330억원)를 넘었다. 이후 트럼프 당선인의 부인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도 밈 코인을 출시하면서 트럼프 일가의 코인 사업에 불이 붙은 모양새다. 2025년 1월 19일 가상화폐 정보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2025년 1월 17일 밤 11시부터 거래된 트럼프 코인(Official Trump, $TRUMP)의 1개당 가격은 이날 오전 한때 73.43달러까지 치솟았다. 전체 가상화폐 중 시총 순위는 전날 20위권 안에 들었으나, 이날 현재 27위 정도로 내려갔다. 트럼프 당선인은 2025년 1월 17일 트루스소셜과 엑스(X·옛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 계정..

코인&정보 2025.01.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