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

기준금리 오르면 집값은?

숏힐링(Short Healing) 2022. 8. 29. 09:52
반응형

*기준금리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금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로, 물가 동향이나 국내외 경제상황,

금융시장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됩니다.

*금리 변동으로 인한 변화

금리를 내리면 -> 돈이 시장에서 풀린다(돈 가치가 떨어짐) ->경기는 뜬다(부양, 호황, 성장)

금리를 올리면 -> 돈이 시장에서 사라짐(돈 가치가 올라감) -> 경기는 가라않고 침체,안정

*금리 변동과 기업/개인의 입장

금리를 올리면 물가가 안정,침체 되는데 기업의 입장에서 돈이 많은 기업은 주가가 올라가고, 돈이 필요한 기업은 주가가 내려갑니다. 그렇다면 개인을 보겠습니다. 개인의 입장에서 돈많은 개인은 예금을 늘리고 투자를 줄일까 라는 생각이 들겠죠. 반면 빚이 않은 흔히 영끌해서 집을 산 분들을 예로 들수 있는데 이자를 내는데 부담을 안게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경기는 부양되고 주식시장은 활발해집니다. 넉넉한 기업은 주가가 떨어지고, 돈필요한 기업은 주가가 올라갑니다. 개인의 입장에서 돈많은 개인은 투자를 늘려볼까? 라고 생각하고, 빚이 없는 개인은 대출해서라도 투자를 해볼까? 집을 사볼까? 라는 생각을 하게되는 것입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내가 산 집.. 가치가 떨어질까?

그리고 지금 집을 사면 안되겠는데 언제쯤 사야하지?

 
"급매시장을 노리는게 답이다."

지금 언론에서 공포스럽게 집값이 마구 떨어질꺼라고 나오지만 과연 이 기사를 쓰는 사람들은 과연 집을 팔고 있을까요? 사고 있을까요?

번외로 주식시장을 이야기 해보자면 공포시장에서 오히려 많은 애널리스트들이 더욱더 떨어질것 이라고 많은 기사를 생산해 놨지만 결국에는 그 시점에 모두 매수를 하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집을 싸게 사기위해서 재개발이나 아파트 경매 빌라 경매를 많이 찾죠. 하지만 경매의 경우 명도비용이나 생각지 못한 관리비 미납을 승계 받는 경우도 많이 생깁니다. 행여나 선순위 권리분석을 잘못 분석하게 되면 그만큼 손해가 날 수 있죠. 이렇게 되면 차라리 급매 라는 선택지가 더 좋습니다.

-경매의 장점 "대출이 많이나온다." 단점 "낙찰받아야 내꺼다"

-일반 매매의 단점 "대출이 어렵다" 장점 "좋은 물건 급매로 살수있다."

내 집 마련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

아직까지는 똑똑한 1주택자가 답입니다.

1주택자를위한 생애 첫 내집마련을 하기위한 현재 정부정책도 많이 좋죠

(취득세 50%감면, 6억한도 LTV 80% 등등)

지금이 오히려 실 수요자에게 적합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매도자가 현재 여유가 없어 당장 이런 선택지를 선택하여 시세보다 적게는 1억 많게는 2억이상 까지도 저렴하게

매수 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728x90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세대 다가구 차이점  (0) 2022.09.03
핸드폰으로 간편하게 부동산 분양 정보 알아보기  (0) 2022.09.01
깡통전세 피하는법  (0) 2022.08.28
부동산 은어 모음  (0) 2022.08.27
부동산 기초&기본 용어  (1) 20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