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정보 46

부동산 교환매매

부동산을 교환하는 매매를 진행할 때 당사자 둘 모두 금전 이외의 재산권을 서로 이전할 것을 약정하여 그 효력이 발생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교환계약이 성립하게 되면 당사자 둘의 목적이 된 재산권을 서로에게 이전해 줄 채무를 부담하고 이를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대방에게 채무불이행 책임을 부담하게 됩니다. 교환 매매는 부동산이라는 재산을 이전한다는 목적을 두고 거래를 하는 점에서는 매매와 같지만 매매 대가를 금전이 아닌 다른 재산권으로 지불한다는 점에서 매매와 차이점이 있습니다. 부동산 교환 매매의 경우 많은 분들이 편법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편법으로 볼 수 없는 거래입니다. 시장에 존재하는 거래 방법들 중에서 일반적으로 매수와 매도의 개념만 존재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지만 부동산의 가치가 ..

부동산&정보 2022.10.26

농어촌 주택이란

*농어촌 주택이란? (농어촌 주택은 읍, 면 단위에 지어진 주택을 의미합니다.) *농어촌 주택으로 판정되지 않는 지역 1.도시지역(국토계획법) 2.수도권지역(연천군,인천 옹진군 제외) 3.조정대상지역(주택법) 4.허가지역(부동산 거래 신고법) 5.관광단지(관광진흥법) *농어촌 주택이 되기 위해서는? (공시가가 3억이하 (한옥은 4억)) *농어촌 주택 1가구 2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1.두집이 같은 읍이나 면에 있으면 불가 2.순서 엄수 (일반 주택 취득>농어촌 주택 취득) 3.농어촌 주택 3년 이상 보유

부동산&정보 2022.10.22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

​ *법정해지 발생요건 ​ -이행지체 ​매매계약의 한쪽 당사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상대방은 상당한 기간을 정해 그 이행을 최고 (상대편에게 일정한 행위를 하도록 통지하는 것) 하고 그 기간 내에도 이행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 -이행불능 ​채무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이행이 불능하게 된 때에는 채권자는 계약을 해지 할 수 있습니다. ​ *해지의 효과 ​ -원상회복의무 ​일방 당사자가 매매계약을 해지한 때에는 각 당사자는 그 상대방에 대해 원상회복 의무가 있는데, 원상회복 시 반환할 금전에는 그 받은 날부터 이자가 청구됩니다. 매도인으로부터 매매 목적물의 소유권을 이전받은 매수인이 매도인의 계약해지 이전에 제3자에게 목적물을 처분하여 계약해지에 따른 원물반환이 불가능할 ..

부동산&정보 2022.10.17

잘못 알고 있는 부동산 상식

*묵시적 갱신 후 계약 해지시 세입자가 중개보수를 부담한다? 묵시적 갱신이 되면 세입자는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 할 수 있으며 묵시적 갱신에 따른 해지는 그 통지를 받은 날로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합니다. *24시간 이내 해지하면 계약금을 돌려 받을 수 있다? 부동산은 일반 물건 구매와 다르기 때문에 계약 성립 시점부터 계약 당사자들에게 "구속력"을 갖기 때문에 별도 특약이 없는 한 계약이 확정된 경우 취소를 요청한다고 해도 계약금 돌려 받을수 없습니다. *가계약 후 계약취소, 가계약금을 돌려 받을 수 있다? 가계약은 임시 계약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구두나 서면 계약이든 당사자의 합의가 있다면 법적효력이 충분하다는 의미가 됩니다. 가계약도 계약이 성립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계약 취소를 한다고 ..

부동산&정보 2022.10.12

이사하기 전 체크 리스트

※이사하기 전 체크 리스트※ *대형폐기물 및 폐가전 처리 버릴 물건 및 가구를 미리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폐가전 제품같은 경우에는 방문 수거를 신청하면 무료로 처리해 주니 미리 자신이 버릴 물건을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신청 (인터넷, TV, 전기, 가스, 에어컨) 자신에게 해당되는 통신사에 전화해 이사 날짜 및 이전 신청을 해야 이사 당일 인터넷 및 TV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미리 신청하지 않으면 예약 일이 미뤄질 수 있으니 미리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사업체 선정 및 계약 가장 중요한 이사업체 선정입니다. 이사 업체가 정말 많다고 하지만 이사 철에는 미리 견적을 받지 않으면 원하는 날짜에 이사를 못하거나 웃돈을 주고 이사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사할..

부동산&정보 2022.10.08

주상복합 아파트?

주상복합 아파트란 주거와 상업공간이 공존하는 형태로 주택법이 아닌 건축법의 규제를 통해 관리가 되며 지상 2층에서 4층 사이의 공간은 상업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5층 이상부터는 주거를 할 수 있는 곳으로 설계됩니다. *주상복합 아파트 장점 주상복합 아파트의 가장 큰 장점은 생활 편의시설이 바로 같은 건물에 위치한다는 점을 들 수 있고 다양한 편의시설이 위치하게 되어 다양한 시설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 입니다. ​또한 이러한 건물들은 대부분 교통이 좋은 지역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인원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사람을 유입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주변 상권이 발달하게 됩니다. *주상복합 아파트 단점 주상복합 아파트는 상업지에 건설되는 특성 때문에 비싼 땅에 집을 짓다 보니 분양가..

부동산&정보 2022.09.27
728x90